오셀로
윌 리 엄 셰 익 스 피 어
▣ 주제/핵심 THEMES/THE POINT
[오셀로]는 윌리엄 세익스피어의 비극으로, 1565년에 출판되었다. 오셀로와 이아고, 두 인물을 중심으로 스토리가 진행되며, 인종차별, 사랑, 시기심, 배신, 복수, 회개 등 다양한 주제가 복합적으로 녹아있어 지금도 여전히 공연되고 있으며 수많은 오페라/영화/문학 작품의 모티브가 되었다.
질투 [오셀로]는 질투의 위험성에 초점을 맞춘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이 연극은 단순한 정황 증거에 의해 어떻게 질투가 촉발될 수 있고 삶을 파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흥미로운 것은 이아고가 오셀로를 파멸시키기 위해 질투를 사용하는데, 이아고가 오셀로를 증오하는 근원도 질투라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질투는 성적인 의심, 직위에 대한 경쟁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결국에는 모두 파멸로 끝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인종차별 오셀로는 영국 문학에 최초로 등장하는 흑인 영웅이다. 장군으로서 그는 영향력 있는 권력의 핵심 위치로 올라가지만, 이와 동시에 까만 피부를 가진 베네치아의 이방인으로 일종의 아웃사이더가 되어 인종차별의 위험에 직면한다. 예를 들어 데스데모나의 아버지인 브라반쇼는 그의 딸의 진실한 사랑을 믿기보다는 오셀로의 속임수라고 믿는다. 이 작품은 이종족혼(결혼 또는 섹스를 통해 인종이 섞이는 것)에 대한 인종차별적인 두려움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으므로 반드시 젠더 및 섹슈얼리티와 함께 인종차별에 대해 분석해야한다.
젠더 이 작품에서 젠더 관계는 꽤나 적대적이다. 미혼 여성은 아버지의 재산으로 간주되며, 작품에 등장하는 두 부부는 모두 남편에 의해 아내가 살해되어 파국을 맞이한다. 등장하는 대부분의 남성 캐릭터는 베네치아의 모든 여성이 본질적으로 난잡하다고 생각하며, 이로 인해 여성의 성욕이 남성에게 커다란 위협이라고 간주한다. 오셀로는 그의 아내가 그를 속이고 있다고 너무 쉽게 믿어버리며, 결과적으로 무력감과 수치심을 스스로 느끼게 된다. 또한 이 작품에서는 젠더 및 섹슈얼리티가 인종과 혼합되어 나타난다. 많은 등장인물들, 심지어 오셀로 본인 스스로도 흑인 남성이 백인 여성을 성적으로 더럽힌다고 믿는다. 그래서 오셀로가 그의 아내를 믿지 못하는 것이다.
▣ 감상평 REVIEW
비극 중의 비극이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결말이 매우 비극적으로 끝나는데, 작품의 완성도를 위한 선택이라기보다는 당시 시대상을 감안한 선택으로 보인다. 추측이긴 하지만, 해피엔딩으로 끝났더라면 공연은 고사하고 당국의 금지조치에 의해 출판조차 불가능했을 것이다. 진정한 사랑을 선택한 데스데모나가 연인의 손에 죽는 결말은 매우 씁쓸하지만, 반면에 안타까운 비극적인 결말 덕분에 오셀로와 데스데모나는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는 불멸의 연인이 되었으며, 사랑하는 사람 간에 신뢰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깨우쳐주고 있다.
[주홍글자] 나다니엘 호손 (0) | 2018.01.12 |
---|---|
[데미안] 헤르만 헤세 (0) | 2018.01.08 |